----------------------------------------------------------글:
전성수
ssJ@kolon.com
[그림] Retina: 망막 Optical Nerve :
시신경. 외쪽 망상 구조: 망막 내부
당뇨병자는 망막이 상해 시력을 잃기 쉽다
그러나 밤잠 잘 때 전기
불을 켜놓고 자면 이를
예방할 수 있다. 의학전문지(Lancet June 29, 2002)에
발표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당뇨병자의 눈은 밤에 망가진다당뇨병자는 눈의 필름에 해당하는 망막의 모세혈관이
잘 막힌다. 혈관 속에 흐르는 당의 점도가
진해지면
머리카락보다 가는 혈관이 붙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뇨병자의 망막은 낮보다는 밤에
망가진다
왜냐하면 캄캄한 밤중 내내 암흑을 분별하는
망막 세포(rod:)가 밥내 많은
혈류를 필요로 한다
혈류중의 산소를 계속 공급받아야만 한다.
망막세포는 우리 몸에서 산소를 가장 믾이 소비하고있는 곳이다
그러나 당뇨병자는 혈류량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당뇨병자의 망막세포는 밤중에는 특히 산소 결핍증
상태에 놓이게되어 즉 에어지가
모자라게되어
망막이 상하게된다

[그림] 망막 내부 구조
Rod: 망막내 암흑을 감지하는 막가지모양의 세포(망막증은 이곳이
망가짐):1억개
Cone: 망막내 청 록 적색을 감지하는 원추모양의 세포 : 7백만개
산소결핍이 왜 망막을
파괴하나?망막세포가 산소결핍이되면 망막에 새 혈관을 자라나게 하는
인자(VEGF)가 2.5배 내지 30배 증가한다.
이로 인해 망막에
실같은 약한 혈관이 생긴다. 이러한 신생 혈관은 쉽게
파괴되어 혈액이 망막을 오염시켜 시력을 잃게
한다
당뇨병자는 밤눈이 어두우며 망막증이 진단되기 전에
캄캄한데서 시력이 먼저 약해진다
기적의 약도 노화성
시력 장애나 당뇨병성 시력장애는 이같은 신생혈관 증식
때문임이 많다. 따라서 혈관증식 인자(VEGF)를 작용 못하게하는
약을 눈에 몇번만 주사하면 안보이든 눈도 깜쪽같이 보게되어
글을쓰고 다시 차를 몰게하는등 기적의 약이
임상중에있다
전기
불은 어떻게 작용하나?잠자면서 전기 불을 켜놓으면 전기 빛은 눈 뚜껑을 뚫고 들어간다
암흑 속에서 많은 산소를
소비하면서 시각을 담당하고있든
망막세포(rod:간상세포)는 빛이 들어오면 에너지를 덜 사용해도 된다
때문에 산소
결핍상태에 빠지지 않으며 망막증을 예방할 수가 잇다
실험
방법망막 세포가 발생시키는 진동전위(Oscillatory potential)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이상과 같은
실험을 입증했다
근거:
29 June 2002; Lancet Journal:Volume 359, Number
9325;
2251-53; Effect of darkness on inner retinal hypoxia
in diabetes ;N
Drasdo, etca Optometry and vision sciences
at Cardiff University in the
United
Kingdom.